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드스테이츠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 SQL 고득점 Kit
- 제로초
- Async
- js
- 백준
- LeetCode
- 리트코드
- 파이썬
- 프로그래머스
- 타임어택
- 타입스크립트
- 렛츠기릿 자바스크립트
- 2주 프로젝트
- javascript
- 회고
- 리덕스
- til
- codestates
- 코어 자바스크립트
-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ython
- 토익
- 4주 프로젝트
- 알고리즘
- programmers
- 정재남
- Today
- Total
목록자기 성찰/TIL (95)
Jerry
미뤄두어 해야 될 학습 부분과 자료들도 쌓여있고, 스케줄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빠르게 새로운 내용에 친숙해져야 되고, 알고리즘도 풀어야 되고, 블로그에 글도 써야 하고, 스프린트 과제 보완도 해야 하고, 운동도 해야 하고, 책도 읽어야 하고... 다들 그럴 것이다. 나도 그러다. 글로만 적어도 2줄이다. 실제로, 대충 하려고 해도 힘이 부친다. 마음을 비우고 현재에 집중하자. 서버는 무얼 하는 녀석인가? -> 서버는 무엇인가를 제공하는 주체입니다. HTTP 서버는 무얼하는 녀석인가? -> HTTP Protocol을 통하여 통신하여서 API를 제공하는 주체입니다. Common JS는 무얼하는 녀석인가? -> 위키피디아에서, 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이라는데.. -> 모듈화, 전역 객체인 exports 객체..
바쁘다는 핑계하에 한편으로 밀어두었던 TIL를 다시 뒤적거린다. 오늘 말하고 싶은 주제는 2가지가 있다. 앞으로 단지 오늘 뭘 했다라는 일련의 단어의 나열보다는 무엇을 했는데 어떘다 정도로 발전시켜 보려고 한다. 1. 수료 후 후기 공유회 Codestates Immersive 21기 선배들 수료 후기 공유회가 있었다. 큰 행사는 아니지만, 해당 기수의 정해진 인원이 각 주제로 발표를 하며 질문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21기 선배들의 주제는 페어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하는 이슈 대처법에 대한 발표 부트캠프 코스 진행 중에 동기 부여하는 법 취업 준비 후기와 팁 이렇게 3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었다. 먼저, 모든 발표를 듣고 든 나의 전체적인 느낌은 다음과 같다. "이 사람들도 나와 크게 다르지 않구나" ..
1. Graph, Tree, BST 구현 - Graph: - Tree: - BST: 2. Time Complexity source graph:www.geeksforgeeks.org/graph-data-structure-and-algorithms/ tree: BST: Time Complexity: => 요새 며칠 간 Sprint 기간이라 블로깅을 뻬먹게 된다. 습관이 깨질까봐 앙상하지만 뼈대만 잡아서 올린다. 이상!
1. 오늘 stack과 queue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juicyjerry.tistory.com/14 2. git work flow에서 한 가지 알게 된 사실이 있다. 더보기 fork →clone → *add pair's fork as remote → **driver 먼저 코드 작성 후 커밋 →역할 체인지 (git pull pair master) 후 코드 작성 → commit → 역할 체인지 *git remote add pair git remote -v ** git add git commit -m 'change(TOO)' 나의 레포에 상대가 pull을 했을 경우, 나의 레포 기록에 남을 줄 알았는데 아니였다. pull 받은 기록을 남기고 싶다면, pull를 받아온 상태에서 내 repo로 ..
1. Hiring Assessments 리팩토링 with Linting : IM Course 들어오기 전, 보았던 7문제 테스트를 ESlint를 활용하여 리팩토링해보았다. 또한, ESLint 레퍼런스를 보면서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부분에서 어떻게 이 문서를 활용해야할지 이해도가 부족했다. 또한, 이번 과제 제목에 있는 리팩토링이라는 단어를 보면서, 이번 과제가 무엇을 하는지 제대로 이해를 못한 상태에서 과제를 진행을 했다.(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대충 보고 대충 이해하는 악습이 있어보인다. 2. Git Work Flow Conflict 충돌이 되는 상황을 하나 발견했는데 코드가 수정된 파일을 add, commit만하고 push 하지 않은 상태로 pair의 remote repo를 pull 했을때 충돌이 일어..
- 오늘 배운 내용들을 학습 후 느낀 점이 있다. 머리로 이해는 했지만, 찝찝한 느낌이 강했다. 공부를 제대로 안 한 느낌이랄까..? 1. Arrow Function (화살표 함수) - call, apply, bind 사용 불가! - this를 결정짓지 않는다! : 개인적으로 축약해서 표현하는 부분이 재미있었다. 본래 함수 식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너무 축약된 표현이다 보니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이걸 어디다 쓸까 궁금해졌다. -> 익명 함수로만 사용할 수 있다. -> 호출 시, 함수 표현식을 사용한다. -> 콜백 함수로 사용할 수 있다. source: poiemaweb.com/es6-arrow-function 2. this keyword - 일반 함수의 this는 어떤 객체가 동적으로 결정된다..
1. Immersive Course를 기다리면서 한 것 중 하나로 Ubuntu를 설치하였다. 우분투가 "아주 사람을 들었다 놨다" 한다. 그러던 중 문득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을 기록해놓으면 재미있을 거 같아서 기록을 하고 있다. (오늘만 8가지 발견!!) 2. 조금씩 알아가면서 친해지고 싶은 친구가 생겼다. 그 친구는 우툰부.. 최근에 윈도우라 멀어지고 만난 새로운 친구다. 아직 너무 어색하고 불편하지만 점차 가까워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3. 런타임에 대해 알게 되었다. - 런타임이란: 프로그래밍이 돌아가는 환경 즉,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환경 = 프로그램) ex. js 런타임이 브라우저 밖에 없었는데 이제 node.js라는 새로운 런타임이 나왔습니다. 4. nvm..
1. HTML ▶HTML의 구조(틀)를 잘 짜 놓아야 이후 JS로 개발할 때에 더욱 직관적이게 짤 수 있다. ▶HTML 태그는 문서의 틀을 만들기 위한 태그 ex) div, span, img, a, ul, li, text area, input, script 2. CSS HTML 구조에 디자인을 부여하기 위한 도구 CSS를 HTML에 적용하는 3가지 방법 inline HTML 내부에 stylesheet 작성 (style tag 이용) HTML 외부에 stylesheet 작성 (link tag 이용) CSS Selector CSS에서 요소(element)를 선택하는 규칙 여기서 요소(엘리먼트)란, "의미를 갖는 하나의 구조"라는 의미를 지님 Solution1: 각각의 엘리먼트에 고유 id 부여 : '#'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