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타입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 codestates
- 2주 프로젝트
- 렛츠기릿 자바스크립트
- 회고
- 리트코드
- SQL 고득점 Kit
- 알고리즘
- 코어 자바스크립트
- 제로초
- programmers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 LeetCode
- 4주 프로젝트
- 코드스테이츠
- 백준
-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js
- 타임어택
- 정재남
- Async
- 자바스크립트
- 토익
- python
- 리덕스
- 리액트
- 파이썬
- javascript
- ti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2/12 (1)
Jerr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E3f4/btsMeKcz5uM/yfOX8N3iMhDx8CXobGFV70/img.png)
캐싱: 캐싱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소(Cache)에 저장해, 동일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저장된 값을 반환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 특징주로 디스크 I/O, 네트워크 요청, DB 조회 등과 같은 비싼 연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됨캐시 계층(Cache Layer) 를 두어 속도가 빠른 저장소(RAM, SSD 등)에 데이터를 저장일반적으로 범용적인 데이터 저장소로 활용됨 예시 웹 브라우저 캐시: 방문한 웹사이트의 이미지, CSS, JavaScript 파일을 저장하여 다시 방문할 때 빠르게 로드데이터베이스 캐시: Redis나 Memcached 같은 인메모리 캐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조회 부담을 줄임CPU 캐시: 프로세서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L1, L2, L3 캐시에 저장하여..
Front/React
2025. 2. 12. 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