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
- 자바스크립트
- 타임어택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2주 프로젝트
- 리액트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 python
-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정재남
- 리덕스
- 제로초
- codestates
- LeetCode
- 타입스크립트
- Async
- 코드스테이츠
- 렛츠기릿 자바스크립트
- til
- js
- 코어 자바스크립트
- 백준
- 파이썬
- SQL 고득점 Kit
- programmers
- 리트코드
- 토익
- 4주 프로젝트
- 회고
- Today
- Total
Jerry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7 본문
DNS의 구조 이해하기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DNS란
호스트명(컴퓨터의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Name Resolution: 이름 해석)해주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우리가 평소에 IP 주소 대신 '호스트명'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DNS 덕분입니다.
DNS는 이름 해석 방법의 하나입니다. 이름 해석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이 알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TCP/IP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IP 주소는 사람에게 있어서 기억하기 힘든 주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람이 알기 쉽게 하고자 컴퓨터에 '호스트명(이름)'을 붙이고 호스트명으로 통신 상대를 지정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통신 상대를 지정하게 되면 상대의 IP 주소가 필요해 이 주소를 가져오는 시스템이 '이름 해석'입니다.
ex) 127.0.0.1이라는 IP 주소는 localhost라는 호스트명을 지정
예전에는 이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host 파일'을 사용했지만 확장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를 해줘야 했습니다. 그 이후 DNS가 대신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DNS의 구조
리소스 레코드: DNS로 이름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DNS 서버에 호스트명과 IP 주소의 매핑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 호스트명과 IP 주소의 매핑을 '리소스 레코드'라고 부릅니다.
support.google.com/domains/answer/3251147?hl=ko
도메인과 존
호스트 명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 도메인은 기업 등의 조직에 의해 관리되며, 도메인 내 호스트에는 공통된 호스트명이 부여됩니다.
예를 들자면,
www.naver.com, mail.naver.com, map.naver.com와 같이 모든 호스트명에 'naver'라는 도메인명이 붙여지는 식입니다. 그리고 DNS 서버가 관리하는 범위를 '존'이라고 부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DNS 서버에 등록된 리소스 레코드의 집합이 존에 해당합니다.
위 내용은 "손으로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Gene, 한빛미디어를 직접 구매하여 공부하면서 메모한 내용입니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9 (0) | 2021.01.06 |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8 (0) | 2021.01.05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6 (0) | 2020.12.31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5 (0) | 2020.12.31 |
손에 익히며 배우는 네트워크 첫걸음 #4 (0) | 2020.12.30 |